전체 글 94

건강보험의 급여, 비급여

건강보험의 급여, 비급여 안녕하세요! 위아더YOUNG 입니다. 오늘은 건강보험의 급여/ 비급여에 대해 쉽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우선, 급여 / 비급여에 대한 설명에 앞서, 건강보험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건강보험이란? 우리나라 대부분의 국민들이 가입(단, 의료급여수급자는 제외)하고 있는 사회보장제도로써, 질병 및 부상으로 인해 발생한 진료비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피보험자인 국민들이 보혐료를 내면, 보험자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이를 관리∙운영하며, 필요 시 의료비용의 일정 비율을 보험 급여로 지급하여 보편적 의료보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의료급여제도란? 생활유지 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국민을 대상으로 의료문제(질병, 부상..

벚꽃과 매화꽃 차이

1. 매화 (Plum Blossom) 매화꽃은 정확히 매화로 표기하고 읽는 것이 맞습니다. '화'가 꽃 화(花)를 사용하기 때문이죠. 열매는 매실이라고 부르죠. 네, 우리가 알고 있는 초록매실의 그 매실이 맞습니다. 벚꽃과 헷갈리는 가장 큰 이유는 색깔도 색깔이거니와 꽃잎의 모양, 개화시기도 거의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매화는 보통 빨리는 2월에 개화하기 시작해서 3월에 절정을 이룹니다. 2. 벚꽃 (Cherry Blossom) 봄이 오면 맞이하는 꽃들 중에 아마 가장 화려하고, 우리의 마음을 들뜨게 하는 꽃이 벚꽃일 겁니다. 따스한 봄의 절정에 피고, 흩날리는 꽃잎들은 마치 눈이 내리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니까요. 벚꽃은 매화보다 한 달 정도 늦게 개화를 시작합니다. 보통 3월 개화하기 시작해서 3월 말~..

나무의 뿌리를 죽이는 방법

우리는 나무뿌리가 피해를 주기 시작할 때까지 마당에 있는 나무뿌리의 망에 대해 그리 생각하지 않는다. 바닥에 금이 가거나 차 진입로 바닥이 뒤틀리는 것은 즐거운 일이 아니어서 아무리 나무를 좋아하더라도 때로는 뿌리를 제거해 줘야 한다. 좋은 소식은 우리가 직접 나무뿌리 (또는 심각한 정도에 따라 나무 전체)를 없앨 수 있는 여러 가지 선택권이 있다는 것이다. 방법1 땅속으로 뻗어가는 뿌리 죽이기 1 작은 문제를 일으키는 뿌리를 자르기. 많은 노동을 해야겠지만, 이것은 직접적으로 주변 식물들에게 위험을 주지 않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우선 뿌리 주위와 땅밑을 파내고 톱이나 양손 가위로 잘라낸다. 적극적으로 뿌리를 자르는 것은 나무를 오랜 기간 쇠약하게 만들어 수년에 걸쳐 잠재적으로 죽게 할 수 있다. ..

예초기 시동안걸릴때2(4사이클)

우선 눈에보이는것은 연료가 올라가는 호스가 깨져있어서 연료가 못올라가니 시동이 안걸리는것이 당연하기때문에 연료필터부터 교체합니다. 연료공급자체가 안되고있다 연료필터는 연료를 공급하는 라인이므로 연료통에서 올라가는 라인을찾으시면 됩니다. 연료필터는 인터넷으로 구매하시거나 가까운 공구상을 방문하시면 구입가능합니다. 연료필터는 롱노우즈를 이용해서 당겨내면 빠집니다. 연료필터는 소모품이고 오래되면 막혀서 시동이안걸리는 주원인중 하나입니다. 약6천원정도면 구매가능하니 나의 연료필터를 확인해보고 교체해야되겠다싶으면 교체하시길 권장합니다. 헌 연료필터 오래된연료필터를 한번 보시면 새까맣게 맛이갔습니다. 새걸한번 보겠습니다. 새연료필터 새것을보면 역시 새것이 좋습니다. 어쨋든 새것으로 교체하겠습니다. 교체는 아주 간단..

카테고리 없음 2023.09.20

예초기 시동안걸릴때1(2사이클 제트노즐편/니들밸브와 RPM조절편)

우선 내가쓰고있는 예초기가 2사이클인지 4사이클인지 알아야합니다. 구별법은 2사이클은 cc오일과 휘발유를 섞어서 사용하고 4사이클은 연료와 오일통이 따로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정말쉽게는 2사이클은 연료통이 위에달려있고 4사이클은 밑에 달려있습니다. 오늘은 2사이클 예초기 시동안걸릴때 어디를 어떻게손봐야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제일먼저 강제시동을 걸어봅니다. 강제시동을 걸어보면 엔진쪽문제인지 카브레타문제인지 알수 있습니다. 지금 미리 이야기하자면 2사이클은 카브레타말고는 말썽부릴곳이 전혀없다는것을 알려드립니다. 강제시동은 카브레타에 WD를 뿌리고 걸어봅니다. 카브레타는 바로 이곳에 달려있습니다. 카브레타의 위치 지금 풀고있는것은 에어필터부분인데 이곳을 풀어내면 카브레타의 속이 보입니다. 이제 초크를 내리고 ..

오피스 인증하는 방법(2021,2019, 2016)

오피스 다운로드 및 설치는 무료입니다. 무료다운설치는 알아서 하시고 오피스 정품 인증을 해보겠습니다. 윈도우키+Q 로 명령프롬프트 검색 후 오른쪽마우스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하거나 시작 메뉴 - 검색에서 cmd 를 입력하고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세요. 윈도우 10에서 테스트하였지만 윈도우 11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1. 첫번째 명령어입니다. cd /d %ProgramFiles(x86)%\Microsoft Office\Office16 이명령어를 입력할 때 에러메세지가 나오면 (x86)을 지우고 입력하세요. 32비트 64비트 버전의 차이입니다. 대부분의 컴퓨터는 64비트이므로 32비트 폴더인 (x86)에서 작업해야 됩니다. 첫번째 명령어에서 에러가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

조선 왕 ‘조(祖)’와 ‘종(宗)’

역사 속 왕의 이름을 보면 뒤에 '조'가 오기도 '종'이 오기도 하는데요. 태조? 영조? 태종? 대체 언제 '조'가 오고, 언제 '종'이 붙는 걸까요. '묘호'란 왕이 죽은 후에 후손들이 붙이는 이름이며 창업한 왕은 조(祖), 왕조를 유지한 왕은 종(宗)이 기본 관례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는 '태조'입니다. 고려 왕 계보 중 '조'를 쓰는 건 건국왕 태조가 유일합니다. 고려 왕 계보를 보면 충렬왕 전까지 이 원칙이 잘 지켜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조선 왕 계보는 조금 어렵습니다. 처음 관례를 어긴 묘호는 세조입니다. 훗날 세조의 묘호를 논할 때 아들인 예종이 '조'를 붙여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선왕인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되고 그 뒤에 등극한 새로운 왕이니 새로운 왕..

부의금 또는 조의금 계좌이체 하는 방법

부의금과 조의금의 차이 먼저 부의금 또는 조의금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단어이지만 부의금은 초상난 집에 보내는 부조 돈이라는 뜻이며 조의금은 남의 죽음을 슬퍼하는 마음으로 보내는 돈이라는 뜻입니다. 약간의 뜻은 다르겠지만 남의 죽음을 슬퍼하며 내는 돈이기 때문에 같은 의미로 봐도 되겠습니다. 계좌 이체하는 방법 봉투에 부의금 또는 조의금을 전달할 때는 부의, 근조, 추모를 적고 뒷면에는 소속과 이름을 적습니다. 계좌 이체로 부의나 조의금을 전달할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부의 홍길동, 근조 홍길동 부의 홍길동 삼성전자, 근조 홍길동 삼성전자 위와 같이 문구, 이름, 소속을 차례대로 적어서 보내면 상주에게 확인이 쉽고 정중히 부의금을 이체할 수 있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문구는 '부의' 또..

신발 운동화 세탁 하는 법

신발 세탁 하는 법, 운동화 세탁기 세탁하는 꿀팁 1. 애벌빨래하기 1.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젖은 걸레로 제거합니다. 신발에 흙, 풀, 진흙 등이 많이 묻어 있으면 낡은 걸레로 최대한 털어냅니다. 단 문지를 필요는 없으며, 흙 등이 심하게 묻은 곳을 닦아내기만 하면 됩니다. * 신발을 쓰레기통 위에서 서로 부딪쳐 이물질을 좀 더 털어내줍니다. 2. 신발 밑창을 칫솔과 따뜻한 비눗물로 세척해주세요. 먼저 작은 컵에 물을 가득 채워둔다음. 주방 세제를 1숟가락 넣어주시고. 칫솔을 용액에 담궈준다음, 신발 밑창을 칫솔로 문지릅니다 * 칫솔로 힘껏 문질러주세요. 세게 문지를수록 이물질을 더 많이 제거할 수 있습니다. 3. 신발을 물로 헹궈주세요. 신발 겉면의 비눗기를 제거해줍니다. 욕조나 싱크대 위에 신발을 ..

무덤에 심어서 좋은 나무들

무덤을 유택(幽宅)이라 부른다. 죽은 사람이 사는 집이란 뜻이다. 왕과 왕비의 무덤을 능침(陵寢)이라 한 것도 ‘사후에 편히 쉬는 집’이란 의미다.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천원지방’의 사상에 근거해 봉분을 원형으로 지었다. 혼령은 하늘에 머물기 때문이다. 오늘날 공원묘원에 조성된 수많은 사각형 분묘들은 우리 사상과 다른 서구적인 형태로 볼 수 있다. 무덤은 선사시대부터 보호·미화·기념(추모)이란 세 가지 측면에서 중시됐다. 사시사철 얼었다 녹았다 반복되며 봉분이 유실되거나 산짐승이나 해충이 사체를 훼손하는 것을 막고자 돌로 봉분을 쌓거나 치장했다. 조경의 일환으로 봉분과 묘역에 잔디를 심은 뒤 그 바깥에는 나무를 심었다. 여기 무덤 주위에 심는 나무를 묘지목이라 부른다. 봉분에 잔디를 입히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