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4

전선의 굵기, 전선규격 AWG

배선시에 알아두면 유용한 AWG 전선 규격에 관한 내용 입니다. AWG (American Wire Gauge) : 미국 전선 규격 ​ AWG는 미국이나 그 밖의 지역에서 구리, 알루미늄 및 기타 전선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전선의 지름 11.680 mm를 AWG 0으로, 0.127 mm를 AWG 36으로 하고, 그 사이를 39 단계로 나눈 번호 체계입니다. ​ AWG의 숫자가 크면, 전선은 오히려 더 가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 ​ ​ 전선이 굵으면 전기적 간섭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더 적고, 일반적으로 지름이 더 가는 전선은 동일한 거리에서 굵은 전선이 전송할 수 있는 량 만큼의 전류를 전송하지 못하게 됩니다. 허용 전류는 케이블의 단면적에 비례하며, 대략 1제곱밀리미터 당 10A(암페어)..

블루베리 품종별 특성정리

블루베리 품종별 특성정리 블루베리는 내한성 기준에 따라 북부하이부시,남부하이부시,레빗아이,로우부시,하프하이부시계등으로 분루합니다.열매 숙기에 따라 조생조,중생종,만생종이 있는데 각 농장의 특성에 따라 장마이전 출하 하려면 조생종을 수확시기등의 조정이 필요할시에는 조,중,만생을 혼합 하기도 합니다. 산비탈이 취미로 블루베리 키우기하는지도 8년이 지났습니다. 처음 시행착오를 하고 나서 고랭지 지역에서는 무엇보다 제일 중요한 것은 내한성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아무리 맛이 좋고 열매가 커도 겨울에 나무가 얼어죽으면 소용 없기 때문입니다. 아래 블루베리 품종의 특성을 기록하며 산비탈이 보유중,또는 좋은 품종이라고 생각하는 품종에는 칼라로 마킹 하였습니다. ■ 블루베리 품종별 특성정리 1. 북부하이부시 얼..

배양토와 상토

배양토 배양토는 재배할 식물에 맞춰 토양과 비료를 조합한 흙으로, 다양한 종류가 있기 때문에 사용전 비료와 산도조정의 유무 등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흙 속에는 다양한 호기성 세균(산소가 있는 곳에서 정상적으로 자라는 세균)이 있는데, 이 호기성 세균의 산소를 흡수하고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을 통해 작물이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논이나 밭에서는 흙을 갈아엎는 방법으로 산소를 공급하지만 일반 가정에서는 화분에 흑토와 적옥토를 섞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흑토는 유기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보수력(흙이 수분을 잡아두는 힘)도 있지만 입자가 작아 통기성이 부족한 반면, 적옥토는 입자가 커서 흑토와 함께 섞으면 통기성이 확보가 됩니다. 흑토와 적옥토를 섞는 비율은 3:1 정도면 됩니다. 상토 보통 시중에서 원예용으로..

간단한 압축 코코칩 / 코코피트 사용법

코코칩은 압축된 형태로 구입하시는 것이 저렴합니다. 압축되지 않은 제품은 사용은 편리하지만 양이 많이 적고 보관하는데 공간을 많이 차지합니다. ​ 다만 압축된 코코칩은 떼어내어 물에 불려서 써야하는 불편함이 있지요. 압축 코코칩 ​ 압축된 코코칩은 아래와 같아요. 참고로 이 제품은 M사이즈인데 이 사이즈 하나만으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 그럼 압축 코코칩을 사용하기 위한 처리 방법 알아보시죠! 코코칩은 필요한만큼 뜯어내서 아래와 같이 물에 불립니다. ​ 근데 왜 코코칩은 꼭 물에 불려서 사용해야 할까요? 1) 불리지 않은 코코칩을 바로 쓰면 나중에 물을 주었을 때 물을 먹으며 부풀어 오르기 때문에 팝콘 튀기듯 코코칩이 분 밖으로 흘러나옵니다.​ 2) 위의 링크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

핸드폰/갤럭시폰 SD카드 넣는법/사용법

핸드폰 설정을 선택, 톱니바퀴 모양에 접속하여 디바이스케어를 선택하면 된다. 해당 디바이스 케어페이지에 접속하면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의 저장공간부터 각 문서, 앱, 이미지, 동영상 등 사용 내역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확인한 휴대폰 저장 공간이 만약 적다고 생각한다면 휴대폰 저장공간을 늘리는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휴대폰에는 자체 메모리카드에 저장공간이 탑재되어 있다. 하지만 저장공간을 추가로 확보하고 싶다면 추가적으로 마이크로 SD 메모리카드를 넣기도 할 수 있다. 마이크로 SD 메모리카드의 경우 인터넷을 통해서 저렴하게 구입할 수가 있다. 얼마 전 쿠팡을 통해서 구입한 삼성 마이크로 SD 메모리카드의 경우 EVO+로 구매했다. 일반 EVO제품보다 성능이 업그레이드된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USB 2.0 과 3.0의 차이

1. USB USB는 Universal Serial Bus로 직역하면 범용 직렬 버스 입니다. 기존의 프린터 포트로 불리는 시리얼 포트의 어려운 사용법을 대체하고자 나온 규격 입니다. IEEE 1284 포트, 흔히 프린터 포트라 불립니다. USB의 첫 등장은 1996년 USB를 지원하는 인텔 칩셋의 발표이지만 널리 퍼진건 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였습니다. 이러한 USB는 호스트-클라이언트에 따라 Type - A , Type - B로 나뉘어 집니다. Type A 는 호스트 소켓 Type B는 클라이언트 소켓입니다. USB Type B 클라이언트 소켓은 연결 기기에 따라 다양한 규격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다음세대는 호스트와 클라이언트의 구분이 없는 Type-C 타입이 등장하게 됩니다. 2. USB 2..

커피 맛있게 타는 법 ( 믹스커피 )

커피 맛있게 타는 법 / 믹스커피 VS 다방커피 커피를 좀 더 맛있게 만들수 있는 방법! 그 비법을 한번 알아보도록 할께요. 우선, 인스턴트 동결커피 기준으로 하나 알려드릴께요! 티 스푼 기준으로, 커피 한스푼 반 / 설탕 두스푼 / 프림 한스푼 반 정도 넣으면 제법 괜찮아요~ 물의 양은 일반 커피잔 기준이구요~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다방커피의 황금비율은 2:2:2 입니다. 간혹, 설탕의 비율을 좀 더 넣기도하구요 ^^ 믹스커피는 무엇보다 물의 비율을 잘 맞추는게 중요하답니다. 흔히 사용하는 종이컵이 180ml 정도 거든요. 믹스커피 하나에 물 100ml 정도가 딱 적당한 편이예요. 100ml 보다 적게 하는건 나아도, 100ml를 넘어서면 싱거워질수 있어서 차라리 100ml 보다는 적게 하시는게 낫습..

대한민국 소형차의 흥망성쇠 , 1990년대

소형차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자동차의 보급과 자동차 산업의 육성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해 왔다. 대한민국을 비롯한 아시아권은 물론, 자동차의 역사가 시작된 유럽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유럽에서 자동차는 마차와 마찬가지로, 귀족이나 신사 등과 같은 유산계급(有産階級)의 전유물이었다. 하지만 전간기에 만들어진 폭스바겐의 카데프-바겐(KDF-Wagen)을 시작으로, 초대 피아트 500, 로버 미니 등의 소형차들 덕분에 유럽 전역에 자동차가 보급될 수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에서도 소형차는 자동차 보급의 첨병으로 활약했다. 소형차는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성과 저렴한 가격으로 대한민국의 마이카 시대를 연 중추였다. 하지만 2010년대 후반에 현대자동차의 엑센트, 기아 프라이드, 쉐보레 아베오 등이 줄줄이 단종, ..

점 제거 후 올바른 관리 방법

얼굴의 점은 위치에 따라 때로 복점이라 하여 복을 가져다준다고 합니다. 점을 매력포인트로 강조하는 연예인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큰 불편이 없는 점이라면 그냥 두셔도 좋습니다. 하지만 점이 전체적인 인상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거나, 메이크업으로도 완벽히 가려지지 않아 맑고 깨끗한 피부를 표현하기가 어렵다면 점 제거를 고민해 볼 수 있습니다. 점 제거 시술은 간단하지만 그 이후 관리가 더 중요 레이저 기술이 발달한 요즘은 누구나 손쉽게 피부과에서 점을 제거합니다. CO2레이저, 트리플 점빼기, 아이스 점빼기 등 개인별 피부 타입과 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실 점 제거 시술 자체는 간단하지만 점 뺀 후 관리 방법이 잘못되면 흉터가 남거나 색소 침착이 생기는 일이 ..

스마트폰 케이블 종류와 특징 및 고속충전 원리(5핀, 8핀, C타입)

스마트폰 일반 충전기로 스마트폰을 충전하면 오랜 시간이 걸리는데 고속 충전기를 사용하면 2배 이상 빠르게 충전하죠? 그런 이유는 무엇이며, 스마트폰 충전기 고르는 법에 대하여 꼼꼼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추가적으로 안전한 충전기 고르는 법도 한번 알아보시죠 핸드폰 충전기의 역사 초기 핸드폰의 경우 충전 거치대 형식을 가지고 충전을 했었습니다. 지금처럼 핀을 직접 핸드폰에 꼽아서 충전하는 방식이 아니었죠. 문제는 표준화된 충전기가 없는 상황이니 같은 제조사에서 만들어도 핸드폰 모델마다 충전기는 전부 달라 새로운 핸드폰을 구매 할 때마다 충전 거치대 또한 바뀌는 악순환이 벌어지게 되었습니다. 24핀 단자 & 20핀 단자 2001년 3월 드디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 ‘이동전화 단말기의 입출력..